바라카 작은 도서관 Baraka Little Library
  • 홈
  • 소개
    • 단체소개
    • 인사말
    • 섬기는 사람들
    • 비전 & 미션
    • 연혁
    • 오시는 길
  • 사업
    • 주요사업
    • 협력기관 및 단체
  • 후원/나눔
    • 후원방법
    • 나눔신청
    • 자원봉사신청
  • 바라카활동소식
    • 바라카 최근활동소식
    • 문의사항
  • 프로젝트
    • 특별한 나눔
    • 프로젝트 #1
  • 바라카관련기사
  • 다문화관련자료
  • 난민관련자료
  • Home
  • Introduction
    • About Us
    • Greetings
    • Our People
    • Our Vision & Mission
    • Our History
    • Directions
  • What We Do
    • Our Main Programs
    • Collaborations
  • Support/Donation
    • Ways to Contribute
    • Application for Donation
    • Application for Volunteer Works
  • Community
    • Newsletters
    • Enquiries
  • Projects
    • Special Projects
    • Project #1
    • project #2
  • Questions
  • Yearbook
    • 2020-2021
    • 2022
  • 최근다문화뉴스

함께 새롭고 건강한 세상을 만들어 가요!
섞여야 건강하다. 섞여야 아름답다. 섞여야 순수하다.
왜냐하면 자연은 태초부터 지금까지 섞여왔기 때문이다.

('이기적유전자' 리처드 도킨스)
​

"자연은 순수를 혐오한다!" (최재천교수 강의 보기 클릭!)

​이주 배경 청소년의 한국...“꿈이 뭔가요?”_[이슈추적]

 "2020년도 외국인 주민자녀의 통계는 26만명 정도 되고요. 17년도에는 23만명 정도 됩니다."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이 지난해 이주배경 청소년 4천여 명을 대상으로 전국 첫 실태조사를 한 결과 국외에서 태어난 이주배경 청소년의 67.3%가 학교생활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했고 한국어와 학습의 어려움을 그 이유로 꼽았습니다. -보건사회연구원-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직면해서 더 많은 다양한 사람들과 더불어서 함께 살아가는 것이 중요한 시점인데 우리도 이제 이주배경 아동을 사회의 일원으로서 정말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이슈 추적  22년07월17일 방송본 보기 
'이주 배경 청소년의 꿈' 방송 보기

학생 인구 35년째 감소…“유치원 188곳 문 닫아”

KBS News 기사보기클릭!

저출산 등의 영향으로 학생 인구가 35년째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오늘(30일) 발표한 ‘2022년 교육 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전국 유·초·중·고 학생 수는 587만 9천768명으로 작년보다 1.3% 감소했습니다.
이는 지난 1986년 천31만 8천 명 이후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1990년에 천만 명 이하로 떨어졌고, 올해는 5백만 명 대로 감소했습니다.

학생 수 감소로 인해 전국 유·초·중·고등학교의 수는 2만 696개교로 작년보다 76개 감소했습니다.
특히 유치원의 경우 지난 1년간 188곳이 문을 닫았습니다. 반면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신도시 등의 영향으로 각각 6개와 13개교가 늘었습니다.

학생 수는 줄었지만 교원 수는 증가하면서 ‘교사 1인당 학생 수’와 ‘학급당 학생 수’는 모두 지난해보다 각각 0.3명과 0.5명씩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대학의 경우 전체 학생 수는 5천여 명 줄었지만, 입학 모집 정원이 더 줄면서 ‘신입생 충원율’은 지난해보다 0.3% 높아진 84.8%로 조사됐습니다. 대학의 개수는 426개로 작년과 같았습니다.

4년제 일반 대학의 경우 신입생 충원율은 96.3%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지역 일반 대학 충원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았지만, 부산과 충북, 전남 등 비수도권 8개 지역의 충원율은 전국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학생 수는 줄고 있지만, 다문화 학생은 지난 2012년 이후 매년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올해 유·초·중·고 다문화 학생 수는 작년보다 8천여 명 늘어난 116만 6,892명으로 전체 학생의 3.2%로 집계됐습니다.
대학에 다니는 외국인 유학생 수는 16만 6,892명으로 지난해보다 9.6% 늘었습니다.
출신 국가별로는 중국이 40.4%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이 22.7%, 우즈베키스탄 5.2%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유학생의 88.3%는 아시아 학생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022년 8월 30일 KBS News. 윤나경 기자bellenk@kbs.co.kr 

<다르다는 것은 특별하다는 것이다!>
인도네시아인 어머니, 한국인 아버지를 둔 최주현 양은 유치원 교사로서의 꿈을 향해 한발씩 나아가고 있습니다. LG는 2010년부터 'LG와 함께하는 사랑의 다문화 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과 이중언어 분야에 재능이 있는 다문화 청소년들이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기사]  
한국어 몰라 우두커니…
​학교 다니기도 버거운
​‘이주배경’ 아동 / KBS 2022.05.05.


[KBS 뉴스 기사]
"이주 청소년도
​꿈꿀 기회를 "  맞춤 교육 절실


아랍 여성을 위한 생활가이드!
​인천 찐 주민인 우리가 먼저 만들었죠!


APIL(어필)이 인천 '와하'에 다녀왔습니다. 인천에 거주하는 아랍 여성들이 '아랍여성을 위한 인천생활 가이드'를 직접 제작하셨다는 소식을 듣고 널리 알리고 소개하고 싶어서 였습니다. 인천 주민으로서 예멘에서 온 나자흐, 나자트, 올라, 수단에서 온 암나, 시리아에서 온 로브나로부터 들어보는 자부심 뿜뿜 경험 이야기! 그리고 나다(한국이주인권센터 박정형 선생님)에 대한 한없는 칭찬과 애정. 한번 만나보세요. * 자료집 링크는 요기에 한국이주인권센터와 와하커뮤니티 여성들이 인천에 새롭게 이주할 아랍 여성들에게 전하는 [아랍여성을 위한 인천생활가이드_웰컴투 인천]을 제작하였습니다. 본 안내서는 인천지역을 기반으로하는 와하커뮤니티의 아랍 여성들이 2021년 4월부터 9월까지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해 함께 모여서 - 인천지역을 경험하면서 얻은 생활 속 지식과 지혜 - 아직 해결하지 못한 문제와 불분명한 정보들 - 알리고 싶은 주의사항들 을 의논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본 책자는 한국어버전과 아랍어버전의 ebook으로 제작하였습니다. -
한국어버전:
http://www.wahha.net/ebook-210913-kr -
아랍어버전:
http://www.wahha.net/ebook-210913-ar -
홈페이지 링크:
https://wp.me/p9YycW-8Q - www.wahha.net 마라반 인천_한국어

   [나는 이주민이자 한국인입니다.]
👉기사보기  [5%의 한국] https://bit.ly/3EsizWz

​우리는 모두 삶의 어떤 순간 이주자가 될 가능성을 안고 산다. 해외에 나가지 않더라도 국내 다른 지역으로 삶의 거처를 옮기지 않고 평생을 살아가는 한국인은 드물다. 우리 주변에 있는 이주민은 나의 다른 모습일 수 있는 까닭이다. 지난 12일 귀화 이주민 4명이 경향신문사에 모여 그간 겪어온 한국 사회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8년만의 인사

십년후 동창생

다문화 사랑 - 열여덟 노만의 꿈_#001

우리가 몰랐던 난민 이야기(YTN Korea 2018.2)
[한국의 난민들 특집] 우리가 몰랐던 난민 이야기, "나는 난민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pn/0930_2018021...


EBS 다큐 시선 - "우리는 한국인 입니다"_#001



​우리는 한국인 입니다. #002
https://www.youtube.com/watch?v=4kAWu4Ay3Cc


Proudly powered by Weebly
  • 홈
  • 소개
    • 단체소개
    • 인사말
    • 섬기는 사람들
    • 비전 & 미션
    • 연혁
    • 오시는 길
  • 사업
    • 주요사업
    • 협력기관 및 단체
  • 후원/나눔
    • 후원방법
    • 나눔신청
    • 자원봉사신청
  • 바라카활동소식
    • 바라카 최근활동소식
    • 문의사항
  • 프로젝트
    • 특별한 나눔
    • 프로젝트 #1
  • 바라카관련기사
  • 다문화관련자료
  • 난민관련자료
  • Home
  • Introduction
    • About Us
    • Greetings
    • Our People
    • Our Vision & Mission
    • Our History
    • Directions
  • What We Do
    • Our Main Programs
    • Collaborations
  • Support/Donation
    • Ways to Contribute
    • Application for Donation
    • Application for Volunteer Works
  • Community
    • Newsletters
    • Enquiries
  • Projects
    • Special Projects
    • Project #1
    • project #2
  • Questions
  • Yearbook
    • 2020-2021
    • 2022
  • 최근다문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