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활동 논문 :
70난민아동_지원_실천가들의_네트워크_경험연구
70난민아동_지원_실천가들의_네트워크_경험연구
70난민아동_지원_실천가들의_네트워크_경험_연구.pdf | |
File Size: | 938 kb |
File Type: |
70난민아동_지원_실천가들의_네트워크_경험_연구.pdf | |
File Size: | 938 kb |
File Type: |
우리가 몰랐던 난민 이야기(YTN Korea 2018.2)
[한국의 난민들 특집] 우리가 몰랐던 난민 이야기, "나는 난민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pn/0930_2018021... |
|
01 왜 다들 난민에 대해서 얘기하나요? 난민이 얼마나 많나요?
공익법센터 어필APIL 세계의 다양한 국가의 많은 사람들이 난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합니다. 왜죠? 왜 우리가 난민에 대해서 귀기울여야 하죠? 네 가지로 정리해서 설명해 드립니다. * 홈페이지 : www.apil.or.kr *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pilkorea * 트위터 : www.twitter.com/apilkorea * 인스타그램 : www.instagram.com/advocatesforpublicinterestlaw/ |
|
02 어떤 사람이 '난민'인가요? - 난민은 이런 사람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난민에 대해서 얘기합니다. 그런데 '난민이란 누구죠?' '어떤 사람을 난민이라고 부를까요?' 일상적 용례와 법률적 의미, 그리고 난민의 의미를 묻고 아는 것의 실천적 의의를 알아봅니다. 소수자의 개념을 법적으로 각국 정부가 모여서 만들어 정한 유례없는 개념이기도 한 난민의 개념. 특히 난민협약이 정한 법률적 의미는 보편적이기도 하고, 실용적이기도 하고, 구체적이기도 하며, 여기서 난민과 국가, 인권에 대한 다양한 고민을 전개해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난민의 정의(Definition of Refugee)입니다. * 홈페이지 : www.apil.or.kr *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pilkorea |
|
03 인종, 종교, 국적 또는 민족, 정치적 의견, 특정사회집단? - 그래서 난민협약이 인권협약입니다난민이 누구인지를 난민협약은 5가지로 유형화하고 있습니다. 인종, 종교, 국적 또는 민족, 정치적 의견, 특정사회집단 구성원이 그것인데요. 가장 많은 박해의 집단을 열거한 것이기도 하지만 국가간 타협의 산물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 사유를 잘 들여다보면 난민협약이 왜 인권협약이고, 난민의 권리가 왜 우리의 권리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난민협약이 정한 5대 사유 - 5 conventional grounds of persecution 에 대해서 다뤄봤습니다.
* 홈페이지 : www.apil.or.kr |
|
14 난민이 왜 한국으로 오나요?
유럽, 중동, 미국 등의 국경이 아닌 한국으로 피난 온 난민을 처음 접하신 분들이 갖는 의문이기도 합니다. 세계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한국에 오는 난민은 극소수에 불과할 뿐인데 정보의 오해로 난민 혐오의 근거가 되기도 하죠. 그렇다면 이들이 어떤 이유로, 어떻게 오게 되는 것일까요? 이번 '난민의 ㄴ'에서 들려드립니다. * 홈페이지 : www.apil.or.kr *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pilkorea |
|
난민법으로 설명할 수 없는 난민인권_한국사회와 난민인권 2021 1강(김영아)1. 난센포럼 '한국사회와 난민인권'을 시작합니다. 1강은 "난민법으로 설명할 수 없는 난민인권"이라는 제목으로 아시아평화를향한이주(MAP)의 김영아선생님께서 함께 해주셨습니다. 김영아선생님은 왜 "난민인권이 난민법으로 설명될 수 없다고 하셨을까요?" 1강은 이에 대한 답변과 함께 ①2020년부터 2021년의 난민인권상황과 ②난민법, 국제인권레짐 그리고 국내 난민법의 관계를 다루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며, 좋은 강연 해주신 김영아선생님과 긴 시간 함께 해주신 꼬까새선생님, 권영민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화질은 720을 권장합니다. 2. 강의 녹취정리(한글판) 파일 보러가기: https://nancen.org/2195 3. MAP이 발간하는 난민 및 비자발적 이주민 전문 뉴스레터, 디스플레이스드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 4. 비자발적 이주가 갈등과 차별이 아닌 안전과 연대로 이어지도록, 평화의 길을 닦는 아시아평화를향한이주(MAP)의 활동은 이곳에서 http://mapcast.org/ *한국사회와 난민인권은 서울시 외국인주민·난민 인권보호사업과 함께 합니다.
|
|
적대와 환대의 최전선 - 우리 사회의 난민과 이주민 - 1부 강의 (김종철)2016 가을 청어람 월례강좌 ‘혐오사회’ 시리즈 마지막 강연은 ‘적대와 환대의 최전선’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타자’로 존재하는 난민, 구금된 이주민, 인신매매 피해자, 무국적자 등을 법률적으로 돕고, 다국적 기업의 인권침해를 감시하는 운동을 해온 공익법센터 ‘어필(APIL)’의 대표 김종철 변호사를 만났습니다. 📮2부 질의응답 시청 : https://youtu.be/678I1pAXAeU
|
|